에이프로젠 연대기(4) 과학자에서 M&A전문가로, 제넥셀세인 시절의 인수합병 김재섭 에이프로젠 회장은 저명한 과학자 출신의 경영인입니다만, 증권시장에서는 M&A전문가또는 기업사냥꾼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닙니다. 이렇게 바람직스럽지 않은 꼬리표가 붙게 된 시작이 제넥셀세인의 경영권 인수와 그 이후의 잇따른 인수합병, 그리고 제넥셀세인의 상장폐지와 지분 매각이었습니다. 김 회장은 KA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초파리 연구를...
에이프로젠 연대기(3) 신기루로 끝난 제넥셀세인의 바이오사업 에이프로젠 김재섭 회장은 초파리 연구로 우리나라 바이오 신약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그가 KAIST 동료 교수들과 설립한 제넥셀이 코스닥 상장사 세인전자와 기업결합을 했을 때 여의도 증권가의 관심을 모았던 것도 그 때문이었죠. 하지만 그의 재능은 오히려 신약개발이 아닌 자본시장에서의 자금조달과 M&A, 이를 통한 기업의 지배에서...
에이프로젠 연대기(2) 에이프로젠과 제넥셀, 20년 전의 기막힌 우연 에이프로젠그룹 김재섭 회장이 처음 설립한 회사는 초파리 연구를 위해 카이스트 동료 교수들과 설립한 제넥셀이었고, 2005년 7월 코스닥 상장사인 세인전자를 인수해 대표이사에 선임된 후 제넥셀세인이라고 상호를 변경하고, 주식교환을 통해 제넥셀을 제넥셀세인의 100% 자회사로 만들죠. 주식교환은 김재섭을 제넥셀세인의 최대주주로 만들어 줍니다. 이듬해인 2...
에이프로젠 연대기(1) 바이오벤처 제넥셀, M&A로 코스닥 입성한 이유는? 2005년 한국 증시에 게놈(Genome) 전문기업 제넥셀이 의료기기 업체인 세인전자를 합병하며 코스닥 시장에 우회상장합니다. 여의도 증권가는 하이테크 바이오 기업이 등장했다며 환영했죠. 세인전자는 혈압계 시장이 강자로 실적 부진 후 턴어라운드 조짐을 보이고 있었고, 제넥셀은 초파리를 이용한 유전자 기술을 바탕으로 그 독창성이나 파이프라인에서 여타 바...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5) 급성장한 실적, 기업가치는 그대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회계기준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종속기업이었다가 2015년에 관계기업으로 분류되었고, 2022년 다시 종속기업이 됩니다. 2015년에는 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할 경우 지배력을 잃게 된다는 이유로 관계기업이 되었고, 2022년에는 바이오젠이 보유한 지분 전부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재매입한면서 종속기업이 되었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4) 2.7조원이 5170억원으로…그럴 듯한 이유는 늘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0년 전인 2015년 회계법인에서 평가받은 삼성바이오에피스 100%의 지분 가치는 약 5조 2700억원으로 추정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당시 보유하던 91.2%의 지분가치 4조 8086억원을 100% 지분으로 환산한 값입니다(회계법인의 평가가 적정했는지는 논외로 합니다). 그런데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 100...
글람의 나스닥 상장, 성공사례일까 스마트글라스 제조업체 글람(현 캡티비전코리아)는 2024년 이후 국내에 실적을 공시하지 않습니다. SEC에 보고된 최근 실적은 지난해 상반기(1~6월)가 마지막인데요. 매출은 1530만달러로 22% 증가했지만 260만 달러의 영업손실과 930만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이전에 비해 개선된 실적이지만 적자행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간 실적은...
한앤컴퍼니의 인수금융, 한온시스템의 배당금 부담으로 한 기업이 지게 되는 빚의 규모는 영업활동의 성과와 씀씀이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업 성과가 좋지 않고 씀씀이가 클수록 빚을 지게 될 가능성이 높고, 반대라면 무차입 구조에 가까워집니다. 빚을 져야 하는 상황인데 그럴 수 없다면 추가 자본의 투입이 있어야 생존이 가능합니다또한 차입이나 증자 등 자금조달을 해야 하는지 여부는 상당부분 현금흐름...
삼성바이오에피스 기업가치 평가, 2015년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12년 2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바이오제약사 바이오젠 아이덱(이하 바이오젠)이 공동 설립한 합작회사입니다. 합작사라고 하지만 대부분 자본은 삼성이 댔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자금과 인프라를, 바이오젠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기술력과 글로벌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의 합작이었거든요.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647억원의 납입자본으...